본문 바로가기

범죄심리학

범죄심리학 - 글레이저의 차별적 동일시 이론과 허쉬의 사회유대이론

반응형

1. 범죄원인 이론 / 사회적과정이론 : 학습과 범죄 3. 글레이저의 차별적 동일시 이론


차별적 동일시 이론의 핵심은 범죄적 행동을 하는 사람은 자신의 범죄적 행동을 지지해줄 수 있는 실존 또는 허구의 인물과 자신을 동일시 한다. 글레이저는 특정인이 범죄성 있는 사람과 차별적 접촉을 하는 과정은 차별적 동일시 과정이 진행되는 것으로 이 과정이 진행됨으로 비행 또는 범죄가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사람들은 다양한 사람들과 자신을 동일시하는데 차별적으로 특정인과는 동일시가 더 강하게 나타난다 차별적 동일시라고 부른다. 한 사람에게 특정인 혹은 개인이 추구하는 어떤 가치를 동일시하는 사람은 한 사람에게 더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특히 역할모델이 추구하는 가치체계에서의 동일시는 강한 영향을 주는데 연쇄살인범 또는 폭탄테러범 등은 직접 만나지 않더라도 차별적 동일시를 통해 범죄를 행하게 된다. 반면 비범죄인과 동일시는 건전한 사회구성원으로 복귀를 한다.


- 범죄원인 이론 / 사회적 과정이론 : 사회적 통제이론  1. 레클리스의 견제이론
견제이론의 기본가정은 합리적인 이서을 가진 인간은 범죄로 얻은 이익과 그로 인해 감수해야하는 손해를 계산하여 전자가 후자 보다 클 때 범죄를 한다고 본다. 범죄를 견제 / 억제하기 위해서는 일반적 예방과 특수적예방을 해야 한다. 일반적 에방은 범죄에 대한 처벌의 인식을 심어주는 것이고 특수적 예방은 범죄자에 대한 처벌에 엄격성과 확실성 신속성을 갖춰야 한다는 것이다. 


범죄를 견제하는 요소를 외적 요소와 심리적 요소로 구분하였다. 외적요소는 가족과 이웃 등 집단 등에 대한 소속감과 안정감 법규범, 형사정책 등이 있고, 심리적 요소는 자기통제감, 아가관념, 책임감, 목적의식, 인내심 법규범에 대한 수용 등이 있다고 한다. 이런 외적 요소와 심리적요소가 적절히 조화를 이룰 때 개인은 범죄를 억제하며 어느 한 요소가 무너질 때 범죄를 저지르게 된다고 설명한다. 

- 범죄원인 이론 / 사회적 과정이론 : 사회적 통제이론  2. 자기비하이론
카플란은 비행이나 범죄의 원인을 나약한 자아존중감이라고 설명했다. 주위사람들로부터 무시당한 사람은 자아존중감을 상실하고, 사회적응이 안되고 규범을 준수하려는 의지가 나약해진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비행집단은 비행을 통해 오히려 소속감과 자아존중감이 강화되는 경향이 있다. 


오저만과 마쿠스느 범죄 원인은 자기비하감이 아니라 성취자아의식의 결여라고 주장하였다. 장래에 자신이 무엇을 이룰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정도가 범죄자가 되는지 아니면 일반인이 되는지 예측하는 지표라고 주장하였다. 긍정적인 성취자아의식을 가진 장래에 좋은 직업과 행복한 가정을 꾸릴수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 범죄자가 될 확률이 낮다고 주장한다. 

2.범죄원인 이론 / 사회적 과정이론 : 사회적 통제이론 3. 허쉬의 사회유대이론


사회결속이론이라고 한다. 비행이나 범죄는 외부와 유대나 통제가 약하거나 없어질 때 이루어진다고 설명한다. 인간은 외부적통제나 유대가 강하다면 범죄를 행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가족 특히 부모에 대한 애착이 강하고, 학업성취도가 높을수록, 도덕적 가치에 대한 신념이 높을수록 비행을 하지 않는 것을 발견했다.
비행적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1). 애착
애착이란 상대방과의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감정적으로 유대감을 가지는 것을 말한다. 부모님 선생님 친구들과 애착이 강할수록 범죄 행위 가능성은 낮아 진다.


(2) 전념
관습적인 생활과 행동을 받아들이는 정도로 전념의 정도가 높을수록 범죄나 비행의 가능성이 줄어든다.


(3) 참여
가족모임, 학교 학업, 친구들과 모임, 사교모임 등에 열심히 참여하는 것으로도 범죄의 가능성은 줄어든다


(4) 신념
자신이 속한 사회의 가치와 도덕 법규범을 수용하고 지지하는 개인적인 믿음을 말하며, 신념이 강할수록 범죄나 비행의 가능성은 줄어든다.

이후 허쉬는 갓프레드슨과 공동연구를 통해 범죄는 한순간의 만족감을 얻기 위한 세속적이고 사소한, 그리고 가벼운 행동이라고 발표했다. 

 

범죄란 일반적으로 일탈행동의 한 부분에 지나지 않으며, 전문가가 주장하는 것처럼 범죄자는 절대 악을 가진 사람이 아닌 순간적인 욕구를 통제하는데 실패하고 결국 합법적인 제제를 벗어나게되고 한순간에 범죄자가 되는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