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범죄심리학

범죄심리학 - 사회적 과정이론 : 사회적 낙인이론

반응형

일탈을 사회적 상호작용의 산물로 이해한다. 특정의 행위에 대해 법 집행 기관이나 사회가 일탈이라고 규정하면 일탈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특정 행위에 대해 어떤 경우에는 일탈이 되지만 어떤 경우에는 일탈이 되지 않는다. 그 행위 대해 사회가 보이는 반응에 따라 일탈 여부가 결정된다.

 

탄넨바움은 악의 극화라는 가설을 발표했다. 사람이 사소한 비행에 대해 사회에서 부정적인 반응을 보일 때 스스로가 실제 부정적인 사람으로 인식하고 점점 부정적인 일에 나서거나 범죄 조직과 어울리게 된다는 것 이다. 이런 극화를 만들지 않는 것이 범죄를 예방하는 것이라고 했다.

 

레머트는 탄넨바움의 악의 극화 개념을 발전시켜 일차적 일탈과 이차적 일탈 이라는 개념을 만들어서 청소년 비행을 설명했다. 일차적 일탈이란 최소의 사소한 일탈행위를 말하며, 이차적 일탈이란 일차적 일탈 후 사회적 처벌이나 비난 등의 반응에 영향을 받아 이어지는 일탈을 말한다.

 

형의 집행 등 전과로 공식적인 일탈자라고 낙인이 찍힐 때 이차적 일탈이 더욱 증가한다고 했다. 베커는 레머트의 주장을 보완하여 특정의 행위가 일탈이라고 낙인찍히는 것은 행위자의 사회적 지위에 따라 달라진다고 보았다. 사회에서 법이나 규정을 위반할 때 일탈자라고 낙인을 찍고, 이 낙인으로 인해 교육, 취업 등에 방해를 받게되며 결과적으로 일탈을 계속하게 된다는 것이 베커의 주장이다.

 

또한 베커는 비행적이거나 범죄적 행동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 의하여 범죄로 개념지어진 행동을 하는 것이 범죄라고 한다. 베커는 비행경력이라는 가설도 제시했다. 처음 비행은 일시적인 것이며 대부분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일시적인 비행이라고 해도 그것이 낙인이 찍힐 경우 고착적인 비행행동으로 굳어지게 되고 사회의 부정적인 인식 때문에 비행 경력이 지속되게 되다고 주장했다.

 

사회적 과정이론 한계는 범죄가 결국 행위자를 둘러싸고 있는 여러 환경적 요소들로부터 학습하고 통제 받으며 또한 사회적 반응의 산물이라는 것을 사회학과 심리학을 접목하여 설명하였다.

 

특히 문화적 충돌,범죄행위 등의 합리화 개인과 사회의 유대와 범죄억제 등의 개념을 끌어들여 범죄원인을 밝히려 한 점은 범죄학의 연구영역을 한층 더 확장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반응형